본문 바로가기
국토도시계획 실무노트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복구사업

by 핫도그일진 2019. 3. 14.
반응형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복구사업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복구는 2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해제 대상지역의 개발사업에 관한 계획의 결정을 받은 개발사업자가 해제면적의 10~20%범위에서 복구의무를 이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불법 밀집 훼손지 토지소유자가 '17년까지 한시적으로 훼손지의 30% 이상을 공원녹지로 조성하여 기부채납 하는 경우 창고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기여형 훼손지 정비사업'입니다.


1)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복구

*2016 토지관련 주요법령 해설집, 경기도, 2016, p84


○ 복구의무 : 해제 대상지역의 개발사업에 관한 계획의 결정을 받은 개발사업자

○ 비용부담 : 개발사업자

○ 예외 : 국토교통부장관이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해당 시·군·구 및 인접 시·군·구에 훼손지가 없는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 시 제외

○ 훼손지 선정(도시·군관리계획 입안권자와 국토교통부장관 및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 협의)기준

- 해제하려는 지역이 속한 해당 개발제한구역 내에 있을 것. 이 경우 훼손지가 여러 곳에 있는 경우에는 인접지를 우선하여 선정

- 복구함으로써 개발제한구역의 지정목적을 달성하는 효과가 클 것

- 도시민의 여가활동을 위한 휴식공간으로서 접근성이 좋을 것


2) 토지소유자의 훼손지 정비사업

*2017도시업무편람, 국토교통부, 2017, p259


□ 사업 개념

○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 물류창고 밀집지역 확산에 따라 '17년까지 한시적으로 훼손지*의 30% 이상을 공원녹지로 조성하여 기부채납 하는 경우 창고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기여형 훼손지 정비사업'

* 훼손지: '16.3.30 이전에 설치된 축사, 동식물 관련 시설로서 건물이 해당 지번 토지면적의 20%(건폐율 20%) 이상인 토지


□ 훼손지 복구사업 개요

○  (사업구역 선정기준) 최소 정비사업구역 면적은 훼손지 1만㎡ 이상

-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훼손지가 아닌 토지를 구역면적의 30% 범위내에서 포함 가능하고, 흩어져 있는 훼손지도 사업구역에 포함 가능

○ (사업 시행방법) GB 관리계획 수립 후 「도시개발법」의 환지방식 등을 활용,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 등에 위탁·대행 가능

○ (시설 설치) 창고, 도시공원 및 녹지, 기존 건축물(주택, 근생 등)

- 창고 규모는 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120% 이하, 높이 8m 이하


□ 사업 추진 절차

○ 조합 설립 → 정비계획 수립 → 시·군·구에 신청 → 주민공람 및 관계기관 협의 → 지방도시계획위 심의 → 관계부처 협의 → 중앙도시계획위 심의 → 관리계획 승인 → 도시개발구역 지정 → 실시계획 인가 → 착공 → 준공 → 환지처분 → 사업완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