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미집행 도시공원 현황 ◈
(전국 도시공원 미집행 면적 및 현황, 국토교통부, 2017.)
< 공원녹지법 시행일 이전에 결정된 공원조성계획의 효력 >
☞ 질의내용
○ 공원관리청이 A행복재단 소유의 녹지지역 4만평을 1993.5.1.자로 도시계획시설인 묘지공원을 결정 하였고, 그 이후 2002.2.1.자로
묘지공원에 대한 공원조성계획을 수립하였음. 2004.10.25.자에 도시계획시설 변경결정을 한 이후 그 어떤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이나 묘지공원 조성계획 수립 고시하지 않았음.
○ 이러한 경우 도시계획시설로 보는 시설결정의 실효에 관한 결정고시일의 기산일은 언제이며, 도시관리계획시설 결정효력 상실일은
언제인지?
☞ 회신내용
○ 2015.10.1.이전에 도시계획시설인 도시공원으로 결정하고 고시를 하였다면, 기산일은 2000.10.1이며, 2020.6.30.일까지 도시계획
시설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때에는 그 다음날인 2020.7.1.자로 도시공원 결정이 상실됨.
< 공원결정 후 공원조성계획 미수립상태 10년 초과시 효력 >
☞ 질의내용
○ 도시공원 결정 현황
시설명 |
시설의 세분 |
위 치 |
면 적(㎡) |
최초결정일 |
결정사유 |
공원조성계획여부 |
공원 |
어린이공원 |
OO동 52-80, 52-81 |
234 |
1972.7.19. (OO 제103호) |
사도개설 허가시 계획 |
미수립 |
○ 공원녹지법 제17조 및 부칙 제8조에 따르면 공원 결정 고시일로부터 10년이 되는날까지 공원조성계획의 고시가 없을 경우 공원
결정의 효력이 상실된다고 규정
○ 위 공원은 결정 당시 사도개설 허가조건으로 OO시 고시 제103호(1972.7.19.)로 도시계획시설(공원)로 결정되고, 사도개설 준공시
기부채납되었어야 하는 시설이나 현재까지 미이행된 공원이며, 현재 공원조성계획도 수립되지 않은 공원임. 이러한 경우 도시공원
결정 실효대상 공원인지?
☞ 회신내용
○ 구 공원녹지법(2005.3.1.공포, 법률 제7476호) 제17조 및 부칙 제8조에 따라 시행일로부터 10년이 되는 날까지 공원조성계획이
결정·고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10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에 도시공원에 관한 도시관리계획 결정은 그 효력을 상실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2005.10.1.부터 10년 경과한 2017년 7월까지 공원조성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다면 해당 도시공원은 실효된 것임.
(출처 : 도시공원·도시자연공원구역 및 녹지 관련 질의·회신 사례집, 2018. 1, 국토교통부)
'국토도시계획 실무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지에 지을 수 있는 주택의 규모는 얼마나 될까 (0) | 2018.10.16 |
---|---|
개발행위허가 질의회신 사례 1~3 (0) | 2018.10.15 |
(도시공원) 일부 조성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의 실효 (0) | 2018.10.11 |
(도시관리계획) 입안권자, 입안제안시 토지소유자 동의 등 (0) | 2018.10.04 |
(도시공원) 도시공원 결정효력 상실 및 적용법령 (0) | 2018.10.02 |
댓글